렌트카 소개좀? ! 여기 말라테
10475e
98
19:00
앞으로 필리핀에 부동산 투자전망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18)
Justin Kang@구글-qk
쪽지전송
Views : 15,655
2024-05-18 05:17
자유게시판
1275517973
|
요즘 한국 뉴스보면 아파트가격 폭락때문에 난리던데요.
제가 한국에 작년에 와서 정말 다행이지, 한 2년 더 전에 왔다가 분위기 쓸려서 아파트라도 하나 샀었다면 정말 인생 고달파 질 뻔 했습니다.
안그래도 작년 여름에 인천 신도시가 좋다길래 봤더니 아파트값이 좀 비상식적인 것 같아서 그냥 대전으로 왔는데요, 분위기 이대로 가면 2년 뒤에는 렌트계약 끝나면 대전생활 정리하고 인천 신도시 어디 작고 저렴한 아파트라도 하나 사서 그냥 평생 가지고 있으면 될 것 같습니다. 아파트값이 언제 다시 오를지는 모르지만, 내리락 오르락 하다가도 결국은 일본 따라 가겠죠.
반면 필리핀은 아직 인구감소로 인한 집값 하락까지는 한참 남은 것 같으니, 여유자금과 필리핀에 연고 있는 분들은 점점 더 필리핀쪽에 투자하는 것이 더 메리트가 있을 것 같네요. 여유가 있으면 한국에는 최대한 대출끼고 작은 아파트나 깔끔한 빌라같은 것으로 만족하고, 필리핀에 콘도라도 하나 더 사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국제결혼커플이면 와이프 생각해서 시골 땅도 좋은 것 같고요.
제가 한국에 작년에 와서 정말 다행이지, 한 2년 더 전에 왔다가 분위기 쓸려서 아파트라도 하나 샀었다면 정말 인생 고달파 질 뻔 했습니다.
안그래도 작년 여름에 인천 신도시가 좋다길래 봤더니 아파트값이 좀 비상식적인 것 같아서 그냥 대전으로 왔는데요, 분위기 이대로 가면 2년 뒤에는 렌트계약 끝나면 대전생활 정리하고 인천 신도시 어디 작고 저렴한 아파트라도 하나 사서 그냥 평생 가지고 있으면 될 것 같습니다. 아파트값이 언제 다시 오를지는 모르지만, 내리락 오르락 하다가도 결국은 일본 따라 가겠죠.
반면 필리핀은 아직 인구감소로 인한 집값 하락까지는 한참 남은 것 같으니, 여유자금과 필리핀에 연고 있는 분들은 점점 더 필리핀쪽에 투자하는 것이 더 메리트가 있을 것 같네요. 여유가 있으면 한국에는 최대한 대출끼고 작은 아파트나 깔끔한 빌라같은 것으로 만족하고, 필리핀에 콘도라도 하나 더 사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국제결혼커플이면 와이프 생각해서 시골 땅도 좋은 것 같고요.
질의 중... 30초 정도 걸려요 ...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만달루용 [쪽지 보내기]
2024-05-18 05:35
No.
1275517975
사면 파는데 걸리는 시간이 10년 걸리게 필리핀 부동산인데 ... 그리고 필리핀 부동산은 외국인 은 토지구매가 불가능하고 와이프 이름으로 사는데 이혼하면 목돈들여 한국으로 개털리고 귀국하는거죠. 필리핀 부동산 투자는 절대 함부로 하는게 아닙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구글-qk [쪽지 보내기]
2024-05-18 06:27
No.
1275517979
@ 만달루용 님에게...
토지는 와이프 준다고 생각하고 사는 거죠. 이혼을 하게되어도 선물로 준다고 생각하고.
저같은 호구는 와이프가 바람나서 이혼을 하더라도 먹고 살것은 챙겨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회사 만들어서 와이프 지분을 60% 주고, 또 그걸 가지고 나 개인이랑 장기임대 계약을 맺고는 거기다 집을 짓는 등 여러가지 생각을 해 볼 수도 있고요.
콘도도 10년 이상 묵히면서 세 주다가 나중에 은퇴목적으로 팔던지 하는 거고.
물론 함부러 할 것은 아니지만, 요새 한국 분위기 보면 한국 부동산은 그냥 아예 투자를 안하는게 맞는 쪽으로 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토지는 와이프 준다고 생각하고 사는 거죠. 이혼을 하게되어도 선물로 준다고 생각하고.
저같은 호구는 와이프가 바람나서 이혼을 하더라도 먹고 살것은 챙겨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회사 만들어서 와이프 지분을 60% 주고, 또 그걸 가지고 나 개인이랑 장기임대 계약을 맺고는 거기다 집을 짓는 등 여러가지 생각을 해 볼 수도 있고요.
콘도도 10년 이상 묵히면서 세 주다가 나중에 은퇴목적으로 팔던지 하는 거고.
물론 함부러 할 것은 아니지만, 요새 한국 분위기 보면 한국 부동산은 그냥 아예 투자를 안하는게 맞는 쪽으로 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Hannah-1 [쪽지 보내기]
2024-05-18 06:49
No.
1275517982
한국 저출산의 원인이
바로 높은 집값 때문이므로
한국 아파트 가격 등은
앞으로도 훨씬 더 떨어져야 합니다.
집테크 하는 거 못 잡으면
한국의 미래는 없습니다.
필은 콘도 보다는 타운 하우스가 더 낫죠.
땅소유 문제가 있긴 하지만.
바로 높은 집값 때문이므로
한국 아파트 가격 등은
앞으로도 훨씬 더 떨어져야 합니다.
집테크 하는 거 못 잡으면
한국의 미래는 없습니다.
필은 콘도 보다는 타운 하우스가 더 낫죠.
땅소유 문제가 있긴 하지만.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구글-qk [쪽지 보내기]
2024-05-18 06:59
No.
1275517984
@ Hannah-1 님에게...
그러니까요. 아파트 값 아무리 떨어졌다고 난리를 쳐도 결국 3~4년 전에 오르기 전과 비교하면 아직도 비쌉니다. 2년뒤에는 저도 아파트 하나 사게 한참 좀 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니까요. 아파트 값 아무리 떨어졌다고 난리를 쳐도 결국 3~4년 전에 오르기 전과 비교하면 아직도 비쌉니다. 2년뒤에는 저도 아파트 하나 사게 한참 좀 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만달루용 [쪽지 보내기]
2024-05-18 07:34
No.
1275517988
와이프 준다는건 사장님이 다문화시고 생각이 그러니 좋은 생각이라고 찬사를 보냅니다. 하지만 . 그냥 일반 한국인 들은 필리핀 또지 투자 비추천합니다. 절대로 필리핀 토지로 돈 벌수 없습니다.필리핀인 들조차 살때는 아주 싶게 사지만 팔때는 땡처리나 안하면 10년 걸리고 파는게 필리핀 토지입니다.필리핀이 가난한게 토지 개혁 실패라는건 중학교 한국 교과서에 나와 있는 애기입니다.(외국인은 토지 소유 불가능 하고 법인 임대 100년 지나면 다 내 놓코 나가야 합니다.바지 필리핀 사장 지분 60프로 주고 구매 거의 90프로가 문제 발생합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동동 [쪽지 보내기]
2024-05-18 09:13
No.
1275518004
인구감소로인한 집값하락이 문제가 아니라..필리핀인들 국민소득대비 필리핀 콘도랑 하우스가격이 일단, 정상적이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가까운 이웃나라인 동남아국가들보다 땅값 집값보면 뻥티기가 이미 얼마나 되어있는지 알겁니다. 그리고 예전에 서울경기지역 아파트가격 엄청 올라갈때, 지방의 중고 아파트가격은 거의 안올라갔습니다. 제가 투자한 원주지역의 46평 아파트는 평당 300만원정도 수준이고, 지금도 평당 200만원대 아파트들 많습니다. 필리핀 마닐라, 세부를 떠나 지방에 있는 질떨어지는 집들보다도 훨씬 퀄리티가 좋은데도 말이죠. 저라면 한국 지방 중소도시의 저렴한 아파트를 투자해서 월세를 받는게 필리핀에다가 부동산 투자하는것 보다 훨씬 관리도 쉽고, 수익률도 더 낫다고 봅니다. 저또한 그렇게 하고 있고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피나스 [쪽지 보내기]
2024-05-18 09:31
No.
1275518008
한국인에게 안전성, 현금 전환성, 가치 상승 가능성 등 종합적으로 고려해 봤을때 한국 부동산은 필리핀 부동산과 비교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서울 수도권 1선 도시들은 미래에 지방 인구 흡수해서 수요가 떨어질일도 없구요
필리핀은 호가 거품이 너무 심합니다 거래 자체도 투명하지 않고 결정적으로 명의 문제... 이건 한국인이 필리핀으로 이주 시작한 이래로 계속 나오는 문제죠
꼭 필리핀에 투자를 해야겠다면 한국 80 필리핀 20 정도가 안정적이라봅니다 양자택일이면 두말할것도 없이 한국이고요
필리핀은 호가 거품이 너무 심합니다 거래 자체도 투명하지 않고 결정적으로 명의 문제... 이건 한국인이 필리핀으로 이주 시작한 이래로 계속 나오는 문제죠
꼭 필리핀에 투자를 해야겠다면 한국 80 필리핀 20 정도가 안정적이라봅니다 양자택일이면 두말할것도 없이 한국이고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구글-qk [쪽지 보내기]
2024-05-19 00:56
No.
1275518176
@ 피나스 님에게...
얼마전까지 그랬는데 지금 서울도 값 폭락 시작했습니다
얼마전까지 그랬는데 지금 서울도 값 폭락 시작했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시라니 [쪽지 보내기]
2024-05-18 09:34
No.
1275518009
필리핀 콘도 매매가, 임대료 계산해보면 수익률이 영 별로인데다.. 골치 아픈 일 많아요. 10년도 더 전에 10년 이상 필리핀 살거면 본전 뽑으니 무조건 집 사라는 말도 있었는데 요즘에는 이걸 이 가격에 왜 사..? 이런 느낌입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AL ARKI SONG [쪽지 보내기]
2024-05-18 10:22
No.
1275518013
10년전에도 15년전에도 이런저런 의견이 있었는데
저는 필리핀에 머 좀사고 팔아서 이득은 잘 봤습니다.
저는 필리핀에 머 좀사고 팔아서 이득은 잘 봤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대한상도 [쪽지 보내기]
2024-05-18 11:32
No.
1275518028
하나 두개만 사야 한다면 한국 동의합니다. 단 서울 및 강남 가까운 수도권만.
그러나, 2주택자 부터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양도소득세로 모두 뜯기고나면 남는게 없으니 살 이유가 없죠.
또한 재산이 많은 분들의 경우도 상속세가 문제가 되죠.
한국에선 삼대가 상속하면 남은게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필리핀 부동산을 한국 스타일로 접근하면 남는게 없는것도 맞습니다. 필리핀은 부르는 시세와 실거래가의 갭이 꽤 크니까요. 실거래가에 사서 실거래가에 팔면 되는데 부르는 금액에 사서 부르는 시세에 팔려고 하니까 안팔린다 남는게 없다 라고 하는겁니다. 필리핀 콘도는 세금 문제가 과거보다 많이 늘었죠. 이점이 달라졌으나 좋은 가격에 잘 사고 장기보유할거면 아직 괜찮다 봅니다.
그러나, 2주택자 부터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양도소득세로 모두 뜯기고나면 남는게 없으니 살 이유가 없죠.
또한 재산이 많은 분들의 경우도 상속세가 문제가 되죠.
한국에선 삼대가 상속하면 남은게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필리핀 부동산을 한국 스타일로 접근하면 남는게 없는것도 맞습니다. 필리핀은 부르는 시세와 실거래가의 갭이 꽤 크니까요. 실거래가에 사서 실거래가에 팔면 되는데 부르는 금액에 사서 부르는 시세에 팔려고 하니까 안팔린다 남는게 없다 라고 하는겁니다. 필리핀 콘도는 세금 문제가 과거보다 많이 늘었죠. 이점이 달라졌으나 좋은 가격에 잘 사고 장기보유할거면 아직 괜찮다 봅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톰과제리@네이버-15 [쪽지 보내기]
2024-05-18 11:38
No.
1275518030
짱꽤가 부동산 띄워주었는데 이젠 아예 못들어오고 쭝국 경제 나락으로 떨어짐 필부동산 누가 받혀줄지 궁금합니다 저도 마닐에 콘도 몇채있지만 궁금하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ino [쪽지 보내기]
2024-05-18 12:45
No.
1275518062
앙헬에 약 4억5천 정도로 6룸 풀빌라를 건축해서(땅포함)
약 15만페소에 월임대 하면
연 10% 이익 입니다.
개인 소견으로 좋은 투자
라 생각합니다.
약 15만페소에 월임대 하면
연 10% 이익 입니다.
개인 소견으로 좋은 투자
라 생각합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장장@구글-V3 [쪽지 보내기]
2024-05-18 13:29
No.
1275518069
필리핀부동산 임대놓는게 딱입니다
특히 마닐라!!!!!
특히 마닐라!!!!!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필용 [쪽지 보내기]
2024-05-18 18:32
No.
1275518130
콘도를 사서 임대할 분들이라면 차라리 리츠(REITS) 주식을 사세요. 연 6-8% 배당이 있습니다.(거주비자 보유시 세금 10%, 아니면 20% 이상). 세금공제후 5.2 - 7.2%의 순수익이 있습니다.
지금 시세에 콘도를 사서 임대를 주면 , 세금 및 관리비, 공실기간 등을 고려할 경우 순수익이 잘해야 연 3-4%일 겁니다.
아울러 고금리 때문에 리츠 주가도 많이 하락했지요. 하지만 금리인하가 시작되면 , 다시 오를 겁니다.
또한 언제든지 팔 수 있습니다. 팔기 위해 1-2년을 기다려야 하는 콘도와는 환금성 측면에서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더구나 살 때 0.3%, 팔 때 1.0%의 비용 밖에 안듭니다.
콘도의 경우 살 때 3%(등록비용을 매수자가 부담하고, 브로커 커미션을 매도자가 부담할 경우), 팔 때 21 - 23%(브로커 커미션 3-5%,CGT 6%,VAT 12%를 매도자가 부담할 경우)의 비용이 듭니다.
(BGC,MAKATI,PASSAY. 한 번이라도 임대를 했을 경우)
아얄라 관련 리츠회사인 Areit가 안정성과 수익성, 환금성을 고려했을 때, 제일 좋은 것 같네요.
지금 시세에 콘도를 사서 임대를 주면 , 세금 및 관리비, 공실기간 등을 고려할 경우 순수익이 잘해야 연 3-4%일 겁니다.
아울러 고금리 때문에 리츠 주가도 많이 하락했지요. 하지만 금리인하가 시작되면 , 다시 오를 겁니다.
또한 언제든지 팔 수 있습니다. 팔기 위해 1-2년을 기다려야 하는 콘도와는 환금성 측면에서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더구나 살 때 0.3%, 팔 때 1.0%의 비용 밖에 안듭니다.
콘도의 경우 살 때 3%(등록비용을 매수자가 부담하고, 브로커 커미션을 매도자가 부담할 경우), 팔 때 21 - 23%(브로커 커미션 3-5%,CGT 6%,VAT 12%를 매도자가 부담할 경우)의 비용이 듭니다.
(BGC,MAKATI,PASSAY. 한 번이라도 임대를 했을 경우)
아얄라 관련 리츠회사인 Areit가 안정성과 수익성, 환금성을 고려했을 때, 제일 좋은 것 같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인트라 [쪽지 보내기]
2024-05-21 00:18
No.
1275518665
@ 필용 님에게...
5월 ,지금 채권 6% 조금 넘는데, 연내에 곧 떨어지면 6% 주식으로 옴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겠네요. 작은돈 개인들은 콘도보다 채권이나 주식 쪽 정보는 도움이 됨니다.
메랄코나 BDO은행주 정보도 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월 ,지금 채권 6% 조금 넘는데, 연내에 곧 떨어지면 6% 주식으로 옴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겠네요. 작은돈 개인들은 콘도보다 채권이나 주식 쪽 정보는 도움이 됨니다.
메랄코나 BDO은행주 정보도 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함께해요 [쪽지 보내기]
2024-05-19 10:35
No.
1275518246
한국 부동산은 더이상 답없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구글-qk [쪽지 보내기]
2024-05-19 11:57
No.
1275518265
@ 함께해요 님에게...
그런것 같습니다. 필리핀이 아무리 문제가 많아도, 한국부동산은 앞으로 일본따라 간다고 보면 그 보다는 낫겠죠.
그런것 같습니다. 필리핀이 아무리 문제가 많아도, 한국부동산은 앞으로 일본따라 간다고 보면 그 보다는 낫겠죠.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No. 97227
Page 1945
Reminder :
인공지능 GPT-4o Mini 적용 안내
Reminder :
필고 닉네임 업데이트 안내
( 12 )
자동차 타이어 교체
감성돔
1,703
12:45
LA 산불로 인한 전망 (1)
영원한하루
3,480
10:27
안녕하세요. (2)
Dreamer
4,215
09:28
아들 한국 국적 취득 망설여집니다 (16)
사방비치여행...
28,109
25-01-11
어제 한국에서 비행기 못탔어요 (10)
MUSICIANANDACTOR
16,358
25-01-11
This post has been locked for temporary. (11)
Justin Kang@구글-q...
21,601
25-01-11
사기꾼 제보, 조심하세요 (1)
끝까지간다
7,586
25-01-09
[필리핀 축제 관련 안전공지]
새부너구리
6,211
25-01-09
개인적인 궁금증 입니다. (5)
Steven
8,763
25-01-08
Deleted ... ! (10)
울트라싸운드
12,747
25-01-07
보니파시오 러닝클럽 (4)
Ryan Jeong
6,357
25-01-07
앙헬레스 시립대학교 한국문화 공연
MUSICIANANDACTOR
5,432
25-01-07
폭탄 돌리기 시작됬습니다. ㅎㅎㅎㅎㅎㅎ (20)
Pogiman
34,968
25-01-06
제보를 받습니다. (1)
김은미-2
5,501
25-01-06